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위메뉴 바로가기
인사말
연혁
비전 및 목표
업무 및 조직
시설현황
해양기준국
해양감시국
내륙기준국
내륙감시국
Loran-C
좌표현황
MI 소개
오시는길
측위시스템의역사
GNSS일반
GPS개요
GLONASS 개요
GALILEO개요
GNSS응용
해상활동
항공부문
농업관련
차량통제
자원관리
재해관리
시설물관리
기타응용분야
용어해설
DGNSS개요
중파기반서비스
인터넷 기반 서비스
서비스 이용방법
Ntrip Client
Ntrip Client Library
실시간 서비스상태
NTRIP 자료실
스마트폰 기반 서비스
서비스 이용방법
어플리케이션
자료이용방법
다운로드
데이터신뢰도
데이터신뢰도
신뢰도분석
고정밀자료처리
수신기및안테나사양
좌표현황
코리아체인 소개
체인소개
연혁
각국위치도
이용범위도
위치측정
Loran-C
Loran-C 소개
원리 및 측정
펄스 형태
GRI 구성
주요송신장비
전세계 Loran-C 현황
Loran-C 용어정리
신호운영률
eLoran
eLoran 일반
TOT 통제
eLoran 신호
데이터 채널
적용분야
FERNS
FERNS란?
FERNS협력체인
공지사항
기관 소식
보도자료
입찰정보
국민소리함
자료실
신고센터
공익신고
공직자 부조리신고
고시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패스워드
개인정보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통합검색
주메뉴영역
인사말
연혁
비전 및 목표
업무 및 조직
시설현황
MI 소개
오시는길
측위시스템의역사
GNSS일반
GPS개요
GLONASS 개요
GALILEO개요
GNSS응용
용어해설
DGNSS개요
중파기반서비스
인터넷 기반 서비스
스마트폰 기반 서비스
자료이용방법
다운로드
데이터신뢰도
수신기및안테나사양
좌표현황
코리아체인 소개
Loran-C
신호운영률
eLoran
FERNS
해양기상정보 제공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공지사항
기관 소식
보도자료
입찰정보
국민소리함
자료실
신고센터
고시
개인정보처리방침
영상정보 운영관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통합검색 서비스
회원서비스
행정정보공개
법령정보
공공데이터개방
측위시스템의역사
GNSS일반
GPS개요
GLONASS 개요
GALILEO개요
GNSS응용
해상활동
항공부문
농업관련
차량통제
자원관리
재해관리
시설물관리
기타응용분야
용어해설
Home
>
위성항법시스템
>
용어해설
용어해설
게시물검색
검색어입력
SV
각 위성의 PRN(위성번호)
SNR(Signal Noise Ratio : 신호대잡음비)
실제비콘신호 강도대 배경 잡음양의 비율이다. SNR이 한계치 이하이면 경고가 발생한다. 적당한 한계치는 10이다. 적당한 SNR 기간은 65초이다
Single Difference(1중차)
위상으로 측정된 GPS 관측치에 포함된 위성과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줄이는 방법. 한 위성을 두대의 수신기가 추적하여 위성의 시계오차를 제거하는 것을 수신기간 single Difference라고 하며, 한 수신기가 두 위성을 추적하여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제거하는 것을 위성간 Single Difference라고 한다. 대게 이 방법은 위상자료에 대해 사용되지만 의사거리자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두 점에서 동시에 동일한 위성으로부터 반송파의 위상차를 측정한 결과의 차. 위성의 궤도와 시계의 오차가 상쇄 됨
SA(Selective Availability)
대부분의 비 군용 GPS 사용자들에게 정밀도를 의도적으로 저하시키는 조치.이 조치는 위성의 시계를 떨리게 하여 거리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delta 과정과 항법 메세지의 ephemeris의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epsilon 과정이 있다. 최근에는 delta 과정이 주로 쓰인다. 이 조치는 암호를 해독하거나 DGPS 방법을 사용하여 대처할 수 있음
RRR(Range Rate Residual)
가장 최근에 수신된 RR보정치와 이 보정치가 적용된 후 IM에서 측정된 현재 RR 사이의 차이다
RRC(Range Rate Corrections)
RRC는 PRC의 예측률에 기초한 의사거리 보정치의 조절값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RRC는 어떤 특정 시간에 PRC에 반영되어야 하는 계산 값 으로써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PRC의 유효성을 증가 시키려는것이다. RRC가 한계치가 넘으면 경고가 발생한다. RRC의 절대값은 비교시에 사용 된다. RRC의 평균값은 +/-1m/sec이다. 적당한 RRC 한계치는 4m/s 임
RS(Reference Station)
육상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GPS수신 장치와 인공위성에 의한 위치 정보와의 실제 위치값차이를 계산하는 컴퓨터로 구성됨
Router
라우터 네트웍 사이에서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고 전달해 주는 장비로 OSI 모델의 하위 3개층까지 처리한다. 라우터은 사용자가 접속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망 접속 장비다. 프로토콜의 필터링 같은 네트웍계층 레벨처리를 실행하고 브로드 케스트를 다른 세그먼트에 전송하지 않으며, 네트웍과 관계없는 데이터 패킷은 통과 시키지 않는다
RTCM SC-104(RTCM Special Committe)
미국 해사무선기술위원회. DGPS의 표준을 권장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의 특별 위원회
RTCM(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
보정치 및 다른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포맷형식
RINEX(Receiver Indepedent Exchange Format)
GPS 관측치를 어떤 수신기로 관측하여도 그에 무관하게 공통적인 양식으로 변환되는 형식. 여기에서 만들어지는 공통적인 자료로는 의사거리와 위상자료 그리고 도플러자료 등 임
RTX(Real Time Kinematic)
DGPS에 있어서 반송파 위상에 대한 보정치는 실시간으로 기준 수신기로부터 사용자에게 송신되는데, 이러한 실시간 진행과정을 일컬음
이전 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10 개
마지막 페이지 14
최종수정일 : 2017-08-0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의견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