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소개
생활속의 위성항법, 보다 안전하게 제공하겠습니다!
개요
해양 고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개요
해양 고정밀 위치정보 서비스는 GNSS 위성에서 수신하는 위치정보의 오차를 당초 10m에서 5cm까지 개선한 기술(PPP-RTK*)입니다. 위성에서 위치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대기(대류권, 전리층 등)를 통과하면서 속도가 느려지거나 휘어짐 현상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합니다. 해양 고정밀 시스템은 이러한 요인별 오차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PP-RTK(정밀단독측위) 기술은 기존 고정밀 측위방식(RTK, PPP)의 단점을 보완한 시스템으로, 높은 정확도 및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 구분 | 장점 | 단점 |
|---|---|---|
| PPP (Precise Point Positioning, 정밀절대측위) |
넓은 이용범위, 단방향 |
긴 수렴시간 |
| RTK (Real Time Kinematic, 정밀상대측위) |
높은 정확도, 빠른 수렴시간 |
좁은 이용범위, 양방향 |
해양 고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기존 DGNSS 인프라(34개소)와 신규 기준국(14개소)으로부터 수집된 GPS 원시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제어국(국립해양측위정보원)으로 제공합니다. 중앙처리제어국에서는 고정밀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관리 및 모니터링을 합니다. 생성된 위치정보는 전용 공급자(방송·통신사)에 제공되어 공공안전 및 연구개발 등 이용자에게 개별 제공되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해양 고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
해양 고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활용분야
- 자율운항선박, 스마트 항만, 해양조사 등 해양 분야 뿐만아니라 향후 자율주행차, 정밀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전망입니다.
< 활용 분야 >








